韓·中·日 학자·교사·시민 공동편찬
- 日 왜곡
대안 모색위해 50여명 3년 격론 끝 난산

한중일 공동역사교재 개발위원들이 지난해 5월 도쿄 회의에서 칼럼 항목 등을 논의하고 있다./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 제공
 
한국과 중국, 일본의 역사학자와 교사, 시민운동가들이 3년이 넘는 긴 토론 끝에 완성한 최초의 동아시아 공동 역사교재 ‘미래를 여는 역사’(한겨레신문사 발행)가 25일 출간됐다.
 
이 책은 침략과 전쟁으로 얼룩졌던 동북아시아 근현대사를 객관적으로 기술해 과거사 반성의 기틀을 마련하고, 세 나라 청소년들에게 평화와 인권, 민주주의사관을 심어주자는 뜻을 담고 있다.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과 독도 영유권 주장,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발언 등이 파문을 낳고 있어 의미가 자못 크다.
 
공동교재 발간 작업은 2002년 3월 중국 난징(南京)에서 열린 ‘역사인식과 동아시아 평화포럼’로 거슬러 올라간다. 2001년 일본 후소샤(扶桑社) 역사교과서의 검정 통과 이후 일본의 교과서 왜곡 문제를 비판하고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모인 한ㆍ중ㆍ일 학자 100여 명은 이 회의에서 자연스럽게 공동 역사부교재 개발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두 달 뒤 ‘한중일 공동교재 개발 특별위원회’가 구성되고 그 해 8월 서울에서 첫 회의가 열려 부교재 개발 목적과 대상, 주제, 시기 등을 정했다. 연말에 도쿄에 다시 모인 세 나라 학자들은 각 국 역사교과서 내용을 분석하고 공동 교재의 대항목을 정했다. 작업은 의외로 순조로운 듯이 보였지만 뼈대라고 할 수 있는 소항목 작업에서 고비를 맞았다.
 
2003년 2월 소항목안을 두고 토론을 벌였지만 합의가 쉽지 않았다. 9, 11월로 이어지는 거의 1년의 토론 끝에 목차와 편집 방향에 합의할 수 있었다. 지난해 4월부터 최근까지는 원고와 사진자료 검토 기간이었다.
 
‘한중일 역사교재개발 특별위원회’라는 이름으로 이 역사적인 교재 발간 사업에 참여한 학자와 교사, 시민운동가는 50여 명을 헤아린다.
 
한국에서는 서중석(성균관대) 김성보 왕현종(이상 연세대) 김정인(춘천교대) 김한종(한국교원대) 교수와 신주백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 책임연구원, 문주영(신도봉중) 박중현(중경고) 이인석(경기여교) 교사, 양미강 아시와평화와역사교육연대 상임공동운영위원장 등이, 중국에서는 부핑(步平) 사회과학원 연구원, 쑤즈량(蘇智良) 상하이사범대 교수, 다이스솽(戴世雙) 베이징대 연구원, 왕즈신(王智新) 일본 미야자키대 교수 등이다.
 
일본에서는 마쓰모토 다케노리(松本武祝ㆍ도쿄대) 오비나타 스미오(大日方純夫ㆍ와세다대) 이타가키 류타(板垣龍太ㆍ도시샤대) 교수, 다나카 유키요시(田中行義) 시바타 다케시(柴田健) 등 현직 교사들이 참여했다.
 
‘미래를 여는 역사’는 16세기 중반 무렵부터 최근까지를 모두 6개 장으로 나누어 기술했다. 구미 열강의 개항 압력이 노골화할 때까지를 ‘개항 이전의 삼국’으로, 각국의 문호개방과 청ㆍ일, 러ㆍ일 전쟁의 소용돌이 휘몰아치는 1900년대 전후의 시기를 ‘개항과 근대화’라는 항목으로 묶었다.
 
이어 ‘일본 제국주의의 확장과 한ㆍ중 양국의 저항’ ‘침략 전쟁과 민중의 피해’ ‘제2차 대전 후의 동아시아’ ‘동아시아의 미래를 위하여’ 순으로 일본의 침략전쟁과 전후 배상ㆍ보상문제, 국교 정상화과정까지 다루고 있다.
 
이 책은 청소년들이 동북아 근현대사의 실체가 무엇인지, 세 나라는 비슷하면서도 다른 역사를 살아왔는지 있는 그대로 친절하게 소개하는데 초점을 두었기 때문에 전체 문장을 ‘~습니다’ 체로 통일했다.
 
200장에 가까운 사진 자료와 40여 가지 도표ㆍ그래프 등 시각 자료들이 풍부하다. 특히 각 장의 하부 항목인 20개 절 끝마다 실어놓은 칼럼 ‘역사 들여다보기’는 ‘삼국의 지도’ ‘삼국의 수도’ 등과 안중근, 이토 히로부미, 신채호, 가네코 후미코, 리다자오 등 인물 중심으로 엮어 재미를 더한다. 장 끝마다 ‘생각해 봅시다’를 실은 것이나, 마지막 장에서 역사교과서와 야스쿠니 신사 문제를 따로 다룬 것은 아픈 과거사를 극복하고 미래를 향해 새로운 역사를 만들자는 의지를 적극적으로 보여준다.
 
서술이 해당 시기의 세 나라 상황을 병렬하는 형식이어서 “동아시아 지역 전체를 구조적으로 연관시켜 파악한다는 목표에는 미치지 못했다”는 비판도 있다.
 
신주백 연구원은 “한계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교재 작업의 목표가 동아시아사를 정리하는 한 편의 역사서를 쓰겠다는 것이 아니었고, 세 나라 학자들의 협력 해수가 4년에 불과하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는 26일 오전 11시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는 ‘한중일3국공동역사편찬위원회’ 이름으로 나온 이 책의 출간기념회를 연다. 일본도 이날 출간기념회를 갖지만, 중국(사회과학문헌출판사)에서는 출간이 당초 계획보다 늦어져 6월3일에 기념회가 열릴 계획이다.
원본 : 미래를 여는 역사




Posted by 상운(祥雲)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