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심보감'에 해당되는 글 7건

  1. 2006.11.09 명심보감(明心寶鑑) (3) 순명편
  2. 2006.11.09 명심보감(明心寶鑑) (1) 계선편
순명편(順命篇)

子曰
자왈
死生有命이오 富貴在天이니라.
사생유명      부귀재천

공자가 말하기를,
"죽고 사는 것은 명에 있고 부자가 되고 귀하게 되는 것은 하늘에 있다."고 하셨다.

萬事分已定이어늘 浮生空自忙이니라.                  忙 (망) 바쁘다
만사분이정         부생공자망

모든 일은 분수가 이미 정하여져 있는데 세상 사람들이 부질없이 스스로 바쁘게 움직인다.

景行錄云
경행록운
禍不可倖免이오 福不可再求니라.                        倖 (행)  요행
화불가행면      복불가재구

경행록에 이르기를
"화는 요행으로는 면하지 못하고 복은 가히 두 번 다시 구하지 못한다."고 하였다.


時來風送
王閣이오 運退雷轟薦福碑라.                轟 (굉) 울리다. 수레소리
시래풍송등왕각    운퇴뇌굉천복비

때가 이르니 바람이 등왕각으로 보내고 운이 없으니 벼락이 천복비를 때렸다.

해설]
등왕각은 중국 장강(長江) 유역인 남창(南昌) 부근에 있는 정자로 당나라 때 그 곳 도독(都督)인 염백서(閻伯嶼)란 사람이 건립했다고 한다. 염백서는 이 정자를 낙성하는 날 그의 사위로 하여금 서문(序文)을 짓게 하여 참석자들에게 은근히 사위 자랑을 할 계획이었다. 그런데 이때 14세 된 왕발(王勃)이 그의 아버지가 고을살이를 하고 있는 남창으로 가는 도중 꿈에서 어서 길을 재촉해 등왕각에 가 서문을 지으라는 현몽을 받았다. 꿈을 깨어보니, 노인이 일러준 낙성식날은 하루뒤였다. 하늘이 도왔던지 그날은 종일 순풍이 불어 날짜에 맞추어 천하명문인 등왕각서(謄王閣序)를 지음으로써 왕발의 문명(文名)이 당시는 물론 후세에까지 전하게 되었다.
반면 송(宋) 나라의 유명한 재상인 범중엄(范仲淹)이 고을살이를 하고 있을 때 집에 가난한 서생(書生) 한 사람이 있었는데 그의 소원은 하루라도 배불리 먹어보고 죽는 것이었다. 범중엄은 그 서생의 소원을 들어주고 싶었으나 명분없이 도와주는 것도 안될 일이므로 당시 유행하던 구양순(歐陽詢)이 쓴 천복사(薦福寺)의 비문(碑文)을 탁본(拓本)해 오면 후히 사례하겠다고 제의했다. 서생이 반가운 김에 급히 달려갔더니, 그 비석은 전날 밤 벼락을 맞아 깨어져 버렸다는 것이다.


列子曰
열자왈
痴聾痼啞도 家豪富요 智慧聰明도 却受貧
치롱고아   가호부    지혜총명    각수빈
年月日時該載定하니 算來由命不由人이니라.
 
연월일시해재정     산래유명불유인

열자가 말하기를,
"어리석고 귀먹고 고질이 있고 벙어리라도 집은 큰 부자요
지혜 있고 총명하지만 도리어 가난하다.
운수는 해와 달과 날과 시가 분명히 정하여 있으니
계산해 보면 부귀는 사람으로 말미암음에 있지 않고 명에 있는 것이다."고 하셨다.
  

'한문의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를 만든 여섯가지 원리- 육서  (0) 2009.01.19
명심보감(明心寶鑑) (2) 천명편  (0) 2006.11.09
명심보감(明心寶鑑) (1) 계선편  (0) 2006.11.09
사자소학-5  (0) 2006.02.16
사자소학-4  (0) 2006.02.16
Posted by 상운(祥雲)
,
계선편(繼善篇)


자왈
爲善者
天報之以福 하고
위선자    천보지이복
爲不善者天報之以禍니라.
위불선자    천보지이화

공자가 말씀하시기를, " 착한 일을 하는 사람에게는 하늘이 복을 주시고 악한 일을 하는 사람에게는 하늘이 재앙을 주느리라"하셨다.

漢昭烈
將終勅後主曰
한소열    장종    칙후주왈
勿以善小而不爲
하고 勿以惡小而爲之하라.
물이선소이불위       물이악소이위지

한나라의 소열황제(유비)가 죽을 때 후주(유선)에게 조칙을 내려서 말하기를
"선이 작다고 해서 아니치 말며, 악이 작다고 해서 하지 말라"고 하였다.


莊子曰 
장자왈
一日不念善이면 諸惡이 皆自起니라
.
일일불념선    제악  개자기

장자가 말하기를,
"하루라도 착한 일을 생각지 않으면 모든 악한 것이 저절로 일어나느니라."고 하셨다.


太公曰
태공왈
見善如渴하고 聞惡如聾하라            聾 (롱(농)) 귀먹다, 귀머거리
견선여갈     문악여농
又曰 善事須貪하고 惡事莫樂하라
.
우왈 선사수탐     악사막락

태공이 말하기를, "착한 일을 보거든 목마를 때 물 본 듯이 주저하지 말며, 악한 것을 듣거든 귀머거리 같이 하라" 또 "착한 일이란 모름지기 탐내야 하며, 악한 일이란 즐겨하지 말라."고 하셨다.

馬援曰
마원왈
終身行善이라도 善猶不足이요
종신행선       선유부족
一日行惡이라도 惡自有餘니라.
일일행악       악자유여

마원이 말하기를, "한평생 착한 일을 행하여도 착한 것은 오히려 부족하고 단 하루를 악한 일을 행하여도 악은 스스로 남음이 있느니라."고 하셨다.


司馬溫公曰
사마온공왈
積金以遺子孫이라도 未必 子孫이 能盡守요
적금이유자손       미필 자손   능진수
積書以遺子孫이라도 未必 子孫이 能盡讀이니
적서이유자손       미필 자손   능진독
不如 積陰德於冥冥之中하야 以爲子孫之計也니라.       冥(명) 어둡다
불여 적음덕어명명지중     이위자손지계야

사마온공이 말하기를, "돈을 모아 자손에게 넘겨준다 하여도 자손이 반드시 다 지킨다고 볼 수 없으며, 책을 모아서 자손에게 남겨 준다 하여도 자손이 반드시 다 읽는다고 볼 수 없다. 남모르는 가운데 덕을 쌓아서 자손을 위한 계교를 하느니만 같지 못하느니라."고 하셨다.

景行錄曰
경행록왈
恩義廣施하라 人生何處不相逢이니
은의광시     인생하처불상봉
讐怨莫結하라 路逢狹處難回避니라.
수원막결     노봉협처난회피

<경행록>에 말하기를, "은혜와 의리를 널리 베풀라. 인생이 어느 곳에서든지 서로 만나지 않으랴? 원수와 원한을 맺지 말라. 길 좁은 곳에서 만나면 피하기 어려우니라."고 하셨다.

莊子曰
장자왈
於我善者도 我亦善之하고 於我惡者도 我亦善之하라.
어아선자   아역선지     어아악자   아역선지
我旣於人無惡이면 人能於我無惡哉인저
아기어인무악     인능어아무악재

장자가 말하기를, "나에게 착한 일을 하는 자에게도 내, 또한 착하게 하고 나에게 악한 일을 하는 자에게도 내, 또한 착하게 할 것이다. 내가 이미 남에게 악하게 아니하였으면 남도 나에게 악하게 할 수 없을 것이니라."고 하셨다.

東岳聖帝[footnote][/footnote]垂訓曰
동악성제   수훈왈
一日行善이라도 福雖未至나 禍自遠矣요
일일행선      복수미지    화자원의
一日行惡이라도 禍雖未至나 福自遠矣
일일행악       화수미지   복자원의
行善之人은 如春園之草하여 不見其長이라도 日有所增하고
행선지인   여춘원지초     불견기장       일유소증
行惡之人은 
如磨刀之石하여 不見其損이라도 日有所虧니라.     虧 (휴)이지러지다
행악지인  여마도지석      불견기손       일유소휴

동악성제가 훈계를 내려 말하기를,
"하루 착한 일을 행할지라도 복은 비록 이르지 아니하나 화는 스스로 멀어진다.
하루 악한 일을 행할지라도 화는 비록 이르지 아니하나 복은 스스로 멀어진다.
착한 일을 행하는 사람은 봄 동산에 풀과 같아서
그 자라나는 것이 보이지 않으나 날로 더하는 바가 있고,
악을 행하는 사람은 칼을 가는 숫돌과 같아서
갈리어서 닳아 없어지는 것이 보이지 않아도 날로 이지러지는 것과 같으니라."
고 하셨다.

子曰
자왈
見善如不及하고
견선여불급
見不善如探湯하라.
견불선여탐탕

공자가 말하기를,
"착한 것을 보거든 미치지 못하는 것과 같이 하고
악한 것을 보거든 끓는 물을 만지는 것과 같이 하라."고 하셨다.

 






'한문의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심보감(明心寶鑑) (2) 천명편  (0) 2006.11.09
명심보감(明心寶鑑) (3) 순명편  (0) 2006.11.09
사자소학-5  (0) 2006.02.16
사자소학-4  (0) 2006.02.16
사자소학-3  (0) 2006.02.16
Posted by 상운(祥雲)
,